기초적으로 생각해보면 곡의 멜로디란 한 스케일을 이용해 쓰여진다. 그걸 반주하는 코드 또한 화음을 위해 그 스케일의 노트로 이루어진다. (물론 이건 기초적인것일뿐 안 그런 곡도 많다.)
예를 들어, C maj scale의 멜로디에 반주를 하기 위해 C maj scale로 기본적인 3화음 triad를 만든다면
C D E F G A B 를 각각 근음으로 해서
C E G
D F A
E G B
F A C
G B D
A C E
B D F
로 쌓일것이다.
그럼 C E F가 C triad인건 알겠는데 D F A는 무엇일까? D min triad이다.
C E G = C
D F A = Dm
E G B = Em
F A C = F
G B D = G
A C E = Am
B D F = Bdim
이것들을 다이어토닉 코드 Diatonic Chord라고 한다.
*표기법
위에 C Major Diatonic Triad를 봤다면 감이 좋은 분들은 눈치를 챘을 것이다. C든 E든 메이저 스케일은 전부다 도레미파솔라시도 라고 했으니 코드 또한 어떤 키 key의 스케일이든 전부다 같은 도미솔로 표기할수 있다는 것을 말이다.
예를 들어보자
C Major scale의 C triad 는 도 미 솔 = C E F다.
D Major scale의 D triad는 도 미 솔 = D #F A다.
결국, 어떤 키 key의 스케일이든 같은 도수를 근음으로 하는 다이어닉 코드는 각 음 사이의 음정이 같다.
그래서 어떤 키든 스케일의 종류가 같다면 통일해서 표기하는 방법이 있다. 스케일이 아라비아 숫자로 표기했다면 코드는 로마자로 하고 영어로 읽는다.
C E G = C = I
D F A = Dm = IIm
E G B = Em = IIIm
F A C = F = IV
G B D = G = V
A C E = Am = VIm
B D F = Bdim = VIIdim
*결론
Diatonic chord | 1도를 근음 | 2도를 근음 | 3도를 근음 | 4도를 근음 | 5도를 근음 | 6도를 근음 | 7도를 근음 |
Major triad | I 1 3 5 |
IIm 1 b3 5 |
IIIm 1 b3 5 |
IV 1 3 5 |
V 1 3 5 |
VIm 1 b3 5 |
VIIdim 1 b3 b5 |
Natural minor triad | Im 1 b3 5 |
IIdim 1 b3 b5 |
III 1 3 5 |
IVm 1 b3 5 |
Vm 1 b3 5 |
VI 1 3 5 |
VII 1 3 5 |
Harmonic minor triad | Im 1 b3 5 |
IIdim 1 b3 b5 |
IIIaug 1 3 #5 |
IVm 1 b3 5 |
V 1 3 5 |
VI 1 3 5 |
VIIdim 1 b3 b5 |
Melodic minor triad | Im 1 b3 5 |
IIm 1 b3 5 |
IIIaug 1 3 #5 |
IV 1 3 5 |
V 1 3 5 |
VIdim 1 b3 b5 |
VIIdim 1 b3 b5 |
Major 7th chord | I M7 1 3 5 7 |
IIm 7 1 b3 5 b7 |
IIIm 7 1 b3 5 b7 |
IV M7 1 3 5 7 |
V 7 1 3 5 b7 |
VIm 7 1 b3 5 b7 |
VIIm 7 b5 1 b3 b5 b7 |
Natural minor 7th chord | Im 7 1 b3 5 b7 |
IIm 7 b5 1 b3 b5 b7 |
III M7 1 3 5 7 |
IVm 7 1 b3 5 b7 |
Vm 7 1 b3 5 b7 |
VI M7 1 3 5 7 |
VII 7 1 3 5 b7 |
Harmonic minor 7th chord | Im M7 1 b3 5 7 |
IIm 7 b5 1 b3 b5 b7 (Half diminished) |
III M7 #5 1 3 #5 7 |
IVm 7 1 b3 5 b7 |
V 7 1 3 5 b7 |
VI M7 1 3 5 7 |
VIIdim 7 1 b3 b5 bb7 (Full diminished) |
Melodic minor 7th chord | Im M7 1 b3 5 7 |
IIm 7 1 b3 5 b7 |
III M7 #5 1 3 #5 7 |
IV 7 1 3 5 b7 |
V 7 1 3 5 b7 |
VIm 7 b5 1 b3 b5 b7 |
VIIm 7 b5 1 b3 b5 b7 |
예를 들어보자. Major scale에서 2도를 근음으로 하는 Major triad는 IIm(투 마이너)이다.
그럼
C Major scale에서 2도를 근음으로 하는 Major triad는 Dm.
D Major scale에서 2도를 근음으로 하는 Major triad는 Em.
E Major scale에서 2도를 근음으로 하는 Major triad는 F#m
F Major scale에서 2도를 근음으로 하는 Major triad는 Gm.
G Major scale에서 2도를 근음으로 하는 Major triad는 Am.
A Major scale에서 2도를 근음으로 하는 Major triad는 Bm.
B Major scale에서 2도를 근음으로 하는 Major triad는 C#m.
이제 스케일만 알면, 모든 다이어토닉 코드를 찾아낼수 있게 됐다!
'How to > 기타 guitar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기타 넥 스펙2 - 넥 프로파일과 너트 너비(손이 작아요 혹은 넥이 너무 얇아요) (2) | 2024.01.01 |
---|---|
기타 넥 스펙1 - 현장 scale length과 곡률 radius 정보 (0) | 2022.05.26 |
12. 실전/이론 - 펜타토닉 스케일 (0) | 2020.08.08 |
11. 실전-기타 지판에서 같은 음이름 찾고 코드와 스케일치기 (0) | 2020.06.06 |
10. 실전-기타 D코드 폼의 모든 7th 코드 (0) | 2020.06.06 |